이달의 방사선의학 연구자 [방사선의학웹진117호]

방사선의학웹진 2025년 4월호의 이달의 방사선의학 연구자 (의학물리학 분야)로 박장연 교수님이 선정되셨습니다.
저널명
IEEE Transactions on Medical Imaging
논문제목
Three-Dimensional Variable Slab-Selective Projection Acquisition Imaging
논문제목 (국문명)
3차원 가변 슬랩-선택적 투영 데이터 획득 영상
연구과제 수행 중 생긴 에피소드
본 연구의 아이디어를 연구 미팅에서 처음 얻은 후 아이디어를 구현한 자기공명영상 데이터를 얻거나 분석하는 것은 큰 어려움이 없었지만, 아이디어를 수학적인 표현으로 담아내는 것과특히 논문 그림에서 시각적으로 적절히 표현하는 것이 쉽지 않아 많은 시간을 사용했음. 이러한 긴 고민의 시간은 힘들었지만 소중한 기억으로 남음
연구과 제 수행 중 보람되었던 일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식으로 3차원 매우 짧은 에코시간(ultrashort echo-time) 영상을 구현하여 영상의 질이 향상된 3차원 폐 구조 영상을 얻고, 또한 그것으로부터 호흡(ventilation), 호흡율(ventilation flow), 그리고 관류(perfusion)와 같은 폐 기능 정보를 제공하는 3차원 폐 기능 영상을 믿을만하고 안정적으로 획득하여, 임상적으로 호흡기 질환(예, 천식, 만성폐쇄성폐질환 등) 환자의 정밀 진단에 유용한 도움이 될 수 있다는 평가를 들었을 때
이 분야로 진학하려는 후배들을 위한 조언
자기공명영상 분야는 처음 시작할 때 물리학적 원리를 정확히 이해하는데 시간이 다소 걸리고, 해부/생리학적 지식뿐만 아니라 신호 처리, 영상 처리와 같은 여러 분야의 지식을 배울 필요가 있어서 진입 장벽이 다소 높은 편임. 하지만 일단 진입 장벽을 넘으면 새로운 기술 개발을 통한 임상이나 기초과학 연구에의 적용뿐만 아니라, 다양한 임상 연구나 순수 공학적 연구, 혹은 순수 기초과학 연구도 가능한 다양한 가능성이 존재하는 도전해 볼 만한 분야라고 말씀드리고 싶음
연구활동 관련 계획
현재 진행 중인 환자 스터디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안한 데이터 획득 방식을 기반으로 위에서 언급한 3차원 폐 구조 및 기능 영상을 구현하여 임상적으로 호흡기 질환 환자의 정밀 진단에 활용할 수 있는 수준의 데이터 획득 및 분석 플랫폼을 구축하고, 더 나아가 창업을 통해 더 많은 환자의 진단 및 치료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
https://www.rmwebzine.re.kr/newshome/mtnmain.php?mtnkey=articleview&mkey=scatelist&mkey2=76&aid=8248